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자바 #생활코딩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파이썬
- BFS
- css #생활코딩 #웹
- 투포인터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재귀
- 자바 #java
- java #자바
- DFS
- 백준
- 코딩테스트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dp
- 다익스트라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react #리액트 #동빈나
- java #자바 #동빈나
- java #자바 #나동빈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Dijkstra
- css #웹 #생활코딩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백트랙킹
- Today
- Total
커리까지
[백준] 18404번 현명한 나이트 파이썬 본문
문제
NxN 크기 체스판의 특정한 위치에 하나의 나이트가 존재한다. 이때 M개의 상대편 말들의 위치 값이 주어졌을 때, 각 상대편 말을 잡기 위한 나이트의 최소 이동 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나이트는 일반적인 체스(Chess)에서와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현재 나이트의 위치를 (X,Y)라고 할 때, 나이트는 다음의 8가지의 위치 중에서 하나의 위치로 이동한다.
(X-2,Y-1), (X-2,Y+1), (X-1,Y-2), (X-1,Y+2), (X+1,Y-2), (X+1,Y+2), (X+2,Y-1), (X+2,Y+1)
N=5일 때, 나이트가 (3,3)의 위치에 존재한다면 이동 가능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나이트가 존재하는 위치는 K, 이동 가능한 위치는 노란색으로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N=5, M=3이고, 나이트가 (2,4)의 위치에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또한 상대편 말의 위치가 차례대로 (3,2), (3,5), (4,5)라고 하자. 이때 각 상대편 말을 잡기 위한 최소 이동 수를 계산해보자. 아래 그림에서는 상대편 말의 위치를 E로 표현하였다. 단, 본 문제에서 위치 값을 나타낼 때는 (행,열)의 형태로 표현한다.
각 상대편 말을 잡기 위한 최소 이동 수는 차례대로 1, 2, 1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N과 M이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자연수로 주어진다. (1 ≤ N ≤ 500, 1 ≤ M ≤ 1,000) 둘째 줄에 나이트의 위치 (X, Y)를 의미하는 X와 Y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자연수로 주어진다. (1 ≤ X, Y ≤ N)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각 상대편 말의 위치 (A, B)를 의미하는 A와 B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자연수로 주어진다. (1 ≤ A, B ≤ N)
단, 입력으로 주어지는 모든 말들의 위치는 중복되지 않으며, 나이트가 도달할 수 있는 위치로만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각 상대편 말을 잡기 위한 최소 이동 수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단, 출력할 때는 입력 시에 상대편 말 정보가 주어졌던 순서에 맞게 차례대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3
2 4
3 2
3 5
4 5
예제 출력 1
1 2 1
제출 답안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sys.setrecursionlimit(10**9)
dy = [1, 2, 2, 1, -1, -2, -2, -1]
dx = [2, 1, -1, -2, -2, -1, 1, 2]
n, m = map(int, input().split())
y, x = map(int, input().split())
visited = [[False] * (n + 1) for _ in range(n + 1)]
def bfs(y, x):
q = deque([(y, x)])
visited[y][x] = 0
while q:
y, x = q.popleft()
for i, j in zip(dy, dx):
ny = y + i
nx = x + j
if 0 <= ny <= n and 0 <= nx <= n:
if not visited[ny][nx]:
visited[ny][nx] = visited[y][x] + 1
q.append((ny, nx))
bfs(y, x)
answer = []
for _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answer.append(visited[a][b])
print(*answer, sep=" ")
'알고리즘 >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129번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가 정보섬에 올라온 이유 파이썬 (0) | 2023.08.05 |
---|---|
[백준] 2468번 안전 영역 파이썬 (0) | 2023.08.04 |
[백준] 16174번 점프왕 쩰리(Large) 파이썬 (0) | 2023.08.03 |
[백준] 12761번 돌다리 파이썬 (0) | 2023.08.03 |
[백준] 3187번 양치기 꿍 파이썬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