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s #웹 #생활코딩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react #리액트 #동빈나
- java #자바 #나동빈
- java #자바 #생활코딩
- 자바 #java
- 백준
- 재귀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백트랙킹
- 프로그래머스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BFS
- 다익스트라
- dp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css #생활코딩 #웹
- PYTHON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java #자바 #동빈나
- 파이썬
- java #자바
- Dijkstra
- DFS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투포인터
- Today
- Total
목록
728x90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728x90
(5)
커리까지
문제 "The quick brown fox jumped over the lazy dogs." 이 문장은 모든 알파벳이 적어도 한 번은 나오는 문장으로 유명하다.즉 26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갖고 있는 것이다. 각 케이스마다 문장에서 공백, 숫자, 특수 문자를 제외하고 얼마나 다양한 알파벳이 나왔는지를 구하면 된다. 대소문자는 하나의 문자로 처리한다. ex) 'A' == 'a' 입력 입력은 250자를 넘지 않는 문장이 주어진다. 각 문장은 적어도 하나의 공백이 아닌 문자를 포함한다. (알파벳이 아닐 수 있다) 마지막 줄에는 '#'이 주어진다. 출력 각 줄마다 출몰한 알파벳의 개수를 출력하면 된다. 예제 입력 1 The quick brown fox jumped ov..
문제 정수론(수학)에서, 세 개의 소수 문제(3-primes problem) 는 다음과 같은 추측을 말한다. '5보다 큰 임의의 홀수는 정확히 세 개의 소수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소수를 여러 번 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7 = 2 + 2 + 3 11 = 2 + 2 + 7 25 = 7 + 7 + 11 5보다 큰 임의의 홀수를 입력받아서, 그 홀수가 어떻게 세 소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또는 불가능한지) 알아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T(Test Case의 수를 의미함)가 주어진다. 입력은 T개의 Test Case로 이루어진다. 각 Test Case는 하나의 정수 K (7 ≤ K < 1,000, K는 홀수)로 구성된다. 출력 T줄에 걸쳐서, ..
문제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만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여기서 안정적인 문자열을 만들기 위한 최소 연산의 수를 구하려고 한다. 안정적인 문자열의 정의란 다음과 같다. 빈 문자열은 안정적이다. S가 안정적이라면, {S}도 안정적인 문자열이다. S와 T가 안정적이라면, ST(두 문자열의 연결)도 안정적이다. {}, {}{}, {{}{}}는 안정적인 문자열이지만, }{, {{}{, {}{는 안정적인 문자열이 아니다. 문자열에 행할 수 있는 연산은 여는 괄호를 닫는 괄호로 바꾸거나, 닫는 괄호를 여는 괄호로 바꾸는 것 2가지이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데이터 세트로 이루어져 있다. 각 데이터 세트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줄에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만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문자열의 길이가..
문제 Moo는 술자리에서 즐겁게 할 수 있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Moo수열을 각 사람이 하나씩 순서대로 외치면 되는 게임이다. Moo 수열은 길이가 무한대이며, 다음과 같이 생겼다. m o o m o o o m o o m o o o o m o o m o o o m o o m o o o o o Moo 수열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귀적으로 만들 수 있다. 먼저, S(0)을 길이가 3인 수열 "m o o"이라고 하자. 1보다 크거나 같은 모든 k에 대해서, S(k)는 S(k-1)과 o가 k+2개인 수열 "m o ... o" 와 S(k-1)을 합쳐서 만들 수 있다. S(0) = "m o o" S(1) = "m o o m o o o m o o" S(2) = "m o o m o o o m o o m o o o ..
문제 성애는 이번 학기에 전공을 정말 많이 듣는다. 이로 인해 거의 매일을 과제를 하면서 보내고 있다. 그런데도 과제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 바로 분단위로 과제가 추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과제 제출 기한은 학기가 끝날 때까지이다. 너무나도 많은 과제를 하다가 미쳐버린 성애는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과제를 해 나가고 있다. 과제는 가장 최근에 나온 순서대로 한다. 또한 과제를 받으면 바로 시작한다. 과제를 하던 도중 새로운 과제가 나온다면, 하던 과제를 중단하고 새로운 과제를 진행한다. 새로운 과제가 끝났다면, 이전에 하던 과제를 이전에 하던 부분부터 이어서 한다. (성애는 기억력이 좋기 때문에 아무리 긴 시간이 지나도 본인이 하던 부분을 기억할 수 있다.) 성애는 과제를 받자마자 이 과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