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커리까지

[프로그래머스] 표 편집 파이썬 본문

알고리즘/풀이

[프로그래머스] 표 편집 파이썬

목표는 커리 2022. 5. 6. 12:50
728x90
SMALL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니니즈웍스의 인턴인 앙몬드는 명령어 기반으로 표의 행을 선택, 삭제, 복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제를 맡았습니다. 세부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table_1.png

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칠해진 칸은 현재 선택된 행을 나타냅니다. 단, 한 번에 한 행만 선택할 수 있으며, 표의 범위(0행 ~ 마지막 행)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이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표를 편집합니다.

  • "U X": 현재 선택된 행에서 X칸 위에 있는 행을 선택합니다.
  • "D X": 현재 선택된 행에서 X칸 아래에 있는 행을 선택합니다.
  • "C" : 현재 선택된 행을 삭제한 후, 바로 아래 행을 선택합니다. 단, 삭제된 행이 가장 마지막 행인 경우 바로 윗 행을 선택합니다.
  • "Z" : 가장 최근에 삭제된 행을 원래대로 복구합니다. 단, 현재 선택된 행은 바뀌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위 표에서 "D 2"를 수행할 경우 아래 그림의 왼쪽처럼 4행이 선택되며, "C"를 수행하면 선택된 행을 삭제하고, 바로 아래 행이었던 "네오"가 적힌 행을 선택합니다(4행이 삭제되면서 아래 있던 행들이 하나씩 밀려 올라오고, 수정된 표에서 다시 4행을 선택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table_2.png

다음으로 "U 3"을 수행한 다음 "C"를 수행한 후의 표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table_3.png

다음으로 "D 4"를 수행한 다음 "C"를 수행한 후의 표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5행이 표의 마지막 행 이므로, 이 경우 바로 윗 행을 선택하는 점에 주의합니다.

table_4.png

다음으로 "U 2"를 수행하면 현재 선택된 행은 2행이 됩니다.

table_5.png

위 상태에서 "Z"를 수행할 경우 가장 최근에 제거된 "라이언"이 적힌 행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table_6.png

다시한번 "Z"를 수행하면 그 다음으로 최근에 제거된 "콘"이 적힌 행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이때, 현재 선택된 행은 바뀌지 않는 점에 주의하세요.
table_7.png

이때, 최종 표의 상태와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를 비교하여 삭제되지 않은 행은 "O", 삭제된 행은 "X"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able_8.png

처음 표의 행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 처음에 선택된 행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수 k, 수행한 명령어들이 담긴 문자열 배열 cm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명령어를 수행한 후 표의 상태와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를 비교하여 삭제되지 않은 행은 O, 삭제된 행은 X로 표시하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5 ≤ n ≤ 1,000,000

  • 0 ≤ k < n

  • 1 ≤

  cmd

의 원소 개수 ≤ 200,000

  • cmd의 각 원소는 "U X", "D X", "C", "Z" 중 하나입니다.
  • X는 1 이상 300,000 이하인 자연수이며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X가 나타내는 자연수에 ',' 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23,456의 경우 123456으로 주어집니다.
  • cmd에 등장하는 모든 X들의 값을 합친 결과가 1,000,0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 표의 모든 행을 제거하여, 행이 하나도 남지 않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본문에서 각 행이 제거되고 복구되는 과정을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 "이름" 열을 사용하였으나, "이름"열의 내용이 실제 문제를 푸는 과정에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이름"열에는 서로 다른 이름들이 중복없이 채워져 있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해결해 주세요.
  • 표의 범위를 벗어나는 이동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원래대로 복구할 행이 없을 때(즉, 삭제된 행이 없을 때) "Z"가 명령어로 주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정답은 표의 0행부터 n - 1행까지에 해당되는 O, X를 순서대로 이어붙인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정확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 사항
  • 5 ≤ n ≤ 1,000
  • 1 ≤ cmd의 원소 개수 ≤ 1,000
효율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 사항
  • 주어진 조건 외 추가 제한사항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k cmd result
8 2 ["D 2","C","U 3","C","D 4","C","U 2","Z","Z"] "OOOOXOOO"
8 2 ["D 2","C","U 3","C","D 4","C","U 2","Z","Z","U 1","C"] "OOXOXOOO"

제출답안

  • 처음에는 dict로 만들어서 삭제하고 삽입했는데 그게 아닌 것 같아서 연결 리스트로 변경하였다.
  1. 제출 답안 함수를 생성한다.
  2. 연결 리스트 table을 생성한다.
    1. i에 앞, 뒤 연결 되는 index를 리스트로 저장한다.
    2. answer에는 On개 만큼 만든다.
    3. current에는 k에 1을 더해서 현재 위치를 지정한다.
    4. stack보다는 입출력이 잦은 문제라 deque로 하였다.
  3. cmd를 for loop 돈다.
    1. direct에 방향을 저장한다.
    2. 만약 D면 아래로 위치를 옮겨야 하기에 움직이는 방향만큼 연결 리스트에 저장된 인덱스로 current를 업데이트 한다.
    3. 만약 U면 위로 위치로 옮겨야 하에 움직이는 방향만큼 연결 리스트에 저장된 인덱스로 current를 업데이트 한다.
    4. 만약 C면 해당 행을 삭제하고 연결리스트를 수정한다.
      1. 먼저 table에서 이전과 이후의 인덱스를 변수에 저장한다.
      2. q에 현재 값(삭제되는 값)을 저장한다.
      3. answer에 지금 위치에 해당하는 값을 X로 지정한다.
      4. 마지막 행일 경우 current는 현재 위의 행을 값으로 하고 아닐 경우 아래 행의 값을 지정한다.
      5. prev가 0이면 이전 행이 없다는 뜻이니 다음 행의 prev만 업데이트 하고 마지막 행이면 이전 행의 nxt만 둘 다 아니면 이전, 이후의 연결 노드를 업데이트 한다.
    5. 만약 Zq에서 가장 최근으 값을 꺼낸다.
      1. answer에 현재 위치의 값을 O로 업데이트 한다.
      2. prev가 0이면 이전 값이 없으니 다음 값의 이전 값만, 마지막 행이면 다음 값이 없으니 이전 값의 다음값만 둘 다 아니면 이전, 이후의 연결 노드를 업데이트 한다.
  4. 조인으로 문자열로 변환하여 리턴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1
def solution(n, k, cmd):
    # 2
    table = {i: [i - 1, i + 1] for i in range(1, n + 1)}
    answer = ['O'] * n
    current = k + 1
    q = deque()

    # 3
    for i in cmd:
        direct = i.split(' ')
        # 아래로
        if direct[0] == 'D':
            for _ in range(int(direct[1])):
                current = table[current][1]
        # 위로
        elif direct[0] == 'U':
            for _ in range(int(direct[1])):
                current = table[current][0]
        # 삭제
        elif direct[0] == 'C':
            prev, nxt = table[current]
            q.append([prev, current, nxt])
            answer[current - 1] = 'X'
            # 마지막 행인 경우
            if nxt == n + 1:
                current = table[current][0]
            else:
                current = table[current][1]
            if prev == 0:
                table[nxt][0] = prev
            elif nxt == n + 1:
                table[prev][1] = nxt
            else:
                table[prev][1] = nxt
                table[nxt][0] = prev

        # 복구
        else:
            prev, now, nxt = q.pop()
            answer[now - 1] = 'O'

            if prev == 0:
                table[nxt][0] = now
            elif nxt == n + 1:
                table[prev][1] = now
            else:
                table[prev][1] = now
                table[nxt][0] = now
    # 4
    return ''.join(answer)
728x90
L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