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파이썬
- 투포인터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PYTHON
- 자바 #java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코딩테스트
- java #자바
- 알고리즘
- react #리액트 #동빈나
- dp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Dijkstra
- 백트랙킹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재귀
- css #생활코딩 #웹
- 다익스트라
- BFS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java #자바 #나동빈
- java #자바 #동빈나
- DFS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css #웹 #생활코딩
- java #자바 #생활코딩
- Today
- Total
커리까지
[백준] 1766번 문제집 파이썬 본문
문제
민오는 1번부터 N번까지 총 N개의 문제로 되어 있는 문제집을 풀려고 한다. 문제는 난이도 순서로 출제되어 있다. 즉 1번 문제가 가장 쉬운 문제이고 N번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된다.
어떤 문제부터 풀까 고민하면서 문제를 훑어보던 민오는, 몇몇 문제들 사이에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1번 문제를 풀고 나면 4번 문제가 쉽게 풀린다거나 하는 식이다. 민오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에 따라 문제를 풀 순서를 정하기로 하였다.
- N개의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는 문제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한다.
-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네 개의 문제가 있다고 하자. 4번 문제는 2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고, 3번 문제는 1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다고 하자. 만일 4-3-2-1의 순서로 문제를 풀게 되면 조건 1과 조건 2를 만족한다. 하지만 조건 3을 만족하지 않는다. 4보다 3을 충분히 먼저 풀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건 3을 만족하는 문제를 풀 순서는 3-1-4-2가 된다.
문제의 개수와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면서 민오가 풀 문제의 순서를 결정해 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는 A번 문제는 B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다는 의미이다.
항상 문제를 모두 풀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 번호를 나타내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들을 민오가 풀어야 하는 순서대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2
4 2
3 1
예제 출력 1 복사
3 1 4 2
제출답안
import heapq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indegree = [0] * (n + 1)
exam_list = [[]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exam_list[a].append(b)
indegree[b] += 1
def topology_sort():
result = []
q = []
for i in range(1, n+1):
if indegree[i] == 0:
heapq.heappush(q, i)
while q:
now = heapq.heappop(q)
result.append(now)
for i in exam_list[now]:
indegree[i] -= 1
if indegree[i] == 0:
heapq.heappush(q,i)
print(' '.join(list(map(str,result))))
topology_sort()
- n,m을 받는다.
- 모든 노드에 대한 진입차수를 0으로 초기화 한다.
- 간선 정보를 담기 위해 리스트를 만든다.
- for문을 돌면서 간선들을 받고 a에 b를 담고 b의 간선을 1씩 늘려준다.
- 위상정렬을 하면서 힙으로 관리한다.
- 우선 1부터 진입차수를 확인하고 만약에 0이면 q에 담는다.
- q가 빌때까지 돈다.
- 현재 힙에서 빼낸값은 0이라는 뜻이니 결과 리스트에 담고 해당 인덱스에 연결된 노드들을 가지고 반복문을 돈다.
- 돌면서 해당 진입차수에서 1씩 빼고 0이되면 q 에 담는다.
- 최종으로 한 칸 띄워서 출력한다.
'알고리즘 >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101번 골드바흐 파티션 파이썬 (0) | 2021.04.06 |
---|---|
[프로그래머스] 2018 카카오 블라인드 [1차] 캐시 파이썬 (0) | 2021.04.04 |
백준 1976번 여행가자 파이썬 (0) | 2021.03.30 |
백준 1238번 파티 파이썬 (0) | 2021.03.29 |
백준 11726번 2xn 타일링 파이썬 (0) | 2021.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