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ijkstra
- 자바 #java
- 다익스트라
- java #자바 #동빈나
- java #자바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react #리액트 #동빈나
- PYTHON
- 재귀
- 투포인터
- dp
- css #웹 #생활코딩
- java #자바 #생활코딩
- BFS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java #자바 #나동빈
- 백트랙킹
- DFS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백준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css #생활코딩 #웹
Archives
- Today
- Total
커리까지
백준 1238번 파티 파이썬 본문
728x90
SMALL
문제
N개의 숫자로 구분된 각각의 마을에 한 명의 학생이 살고 있다.
어느 날 이 N명의 학생이 X (1 ≤ X ≤ N)번 마을에 모여서 파티를 벌이기로 했다. 이 마을 사이에는 총 M개의 단방향 도로들이 있고 i번째 길을 지나는데 Ti(1 ≤ Ti ≤ 100)의 시간을 소비한다.
각각의 학생들은 파티에 참석하기 위해 걸어가서 다시 그들의 마을로 돌아와야 한다. 하지만 이 학생들은 워낙 게을러서 최단 시간에 오고 가기를 원한다.
이 도로들은 단방향이기 때문에 아마 그들이 오고 가는 길이 다를지도 모른다. N명의 학생들 중 오고 가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학생은 누구일지 구하여라.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 M(1 ≤ M ≤ 10,000), X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두 번째 줄부터 M+1번째 줄까지 i번째 도로의 시작점, 끝점, 그리고 이 도로를 지나는데 필요한 소요시간 Ti가 들어온다.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도로는 없으며, 시작점과 한 도시 A에서 다른 도시 B로 가는 도로의 개수는 최대 1개이다.
모든 학생들은 집에서 X에 갈수 있고, X에서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데이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 번째 줄에 N명의 학생들 중 오고 가는데 가장 오래 걸리는 학생의 소요시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8 2
1 2 4
1 3 2
1 4 7
2 1 1
2 3 5
3 1 2
3 4 4
4 2 3
예제 출력 1 복사
10
제출답안
import heapq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def dijkstra(x):
distance = [INF] * (n + 1)
heapq.heappush(heap, [0, x])
distance[x] = 0
while heap:
w, x = heapq.heappop(heap)
for nw, nx in graph[x]:
nw += w
if nw < distance[nx]:
distance[nx] = nw
heapq.heappush(heap, [nw, nx])
return distance
n, m, t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 + 1)]
heap = []
for i in range(m):
x, y, w = map(int, input().split())
graph[x].append([w, y])
ans = [0] * (n + 1)
for i in range(1, n + 1):
distance = dijkstra(i)
ans[i] += distance[t]
distance = dijkstra(t)
ans[i] += distance[i]
print(max(ans))
- 무한대값을 만든다.
- 다익스트라 함수를 만든다.
- 힙을 사용해서 시간을 단축하고 힙에 거리와 해당 노드를 계속 집어넣는다.
- 필요한 값들을 받는다.
- 그래프와 힙을 만든다.
- 학생들의 거리와 시간을 받는다.
- for문을 돌면서 1부터 n+1까지 다익스트라를 돌고 거기서 목적지 t까지의 거리를 더하고 t로 다시 다익스트라를 돌려서 목적지에서 i까지 값을 더한다.
-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값을 출력한다.
728x90
LIST
'알고리즘 >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766번 문제집 파이썬 (0) | 2021.04.01 |
---|---|
백준 1976번 여행가자 파이썬 (0) | 2021.03.30 |
백준 11726번 2xn 타일링 파이썬 (0) | 2021.03.27 |
백준 2470번 두 용액 파이썬 (0) | 2021.03.26 |
백준 11656번 접미사 배열 파이썬 (0) | 2021.03.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