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재귀
- java #자바 #동빈나
- BFS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css #웹 #생활코딩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알고리즘
- 백트랙킹
- java #자바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css #생활코딩 #웹
- 백준
- 자바 #java
- 파이썬
- 다익스트라
- 투포인터
- Dijkstra
- dp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PYTHON
- react #리액트 #동빈나
- java #자바 #나동빈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DFS
- java #자바 #생활코딩
- 코딩테스트
Archives
- Today
- Total
커리까지
[프로그래머스] 피보나치 수 본문
728x90
SMALL
문제 설명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 F(2) = F(0) + F(1) = 0 + 1 = 1
- F(3) = F(1) + F(2) = 1 + 1 = 2
- F(4) = F(2) + F(3) = 1 + 2 = 3
- F(5) = F(3) + F(4) = 2 + 3 = 5
와 같이 이어집니다.
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 | return |
---|---|
3 | 2 |
5 | 5 |
입출력 예 설명
피보나치수는 0번째부터 0, 1, 1, 2, 3, 5, ... 와 같이 이어집니다.
제출 답안
탑다운
- 함수 밖에
d
를 선언했다.- 100,001로 한 이유는 n이 최대 100,000이기에 그렇다.
- 만약 1 또는 2가 들어오면 1을 리턴한다.
- 그리고 이미 계산한 적이 있다면 해당 인덱스의 값을 리턴한다.
- 계산한 적이 없는 인덱스는 재귀로 계산된 값으로 업데이트 한다.
- 마지막에 1234567로 나눈다.
- 근데 이 방법은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여 보텀업으로 제출해야 통과하였다.
d = [0] * 100001
def solution(n):
if n == 1 or n == 2:
return 1
if d[n] != 0:
return d[n]
d[n] = solution(n - 1) + solution(n - 2)
return d[n] % 1234567
테스트 1 〉 | 통과 (0.01ms, 10.5MB) |
---|---|
테스트 2 〉 | 통과 (0.01ms, 10.6MB) |
테스트 3 〉 | 통과 (0.01ms, 10.4MB) |
테스트 4 〉 | 통과 (0.01ms, 10.4MB) |
테스트 5 〉 | 통과 (0.01ms, 10.6MB) |
테스트 6 〉 | 통과 (0.01ms, 10.4MB) |
테스트 7 〉 | 실패 (런타임 에러) |
테스트 8 〉 | 통과 (1.11ms, 11.5MB) |
테스트 9 〉 | 통과 (0.24ms, 10.9MB) |
테스트 10 〉 | 실패 (런타임 에러) |
테스트 11 〉 | 통과 (0.63ms, 11.1MB) |
테스트 12 〉 | 통과 (0.82ms, 10.9MB) |
테스트 13 〉 | 실패 (런타임 에러) |
테스트 14 〉 | 실패 (런타임 에러) |
보텀업
- 모든 값이 0인 리스트를 생성한다.
- 그리고 1과 2는 미리 계산하여 결과를 업데이트 한다.
- 3부터는 계산이 가능하니 for loop로 계산한다.
- n번째 수를 나눠 나머지를 return한다.
def solution(n):
d = [0] * (n + 1)
d[1] = 1
d[2] = 1
for i in range(3, n + 1):
d[i] = d[i - 1] + d[i - 2]
answer = d[n] % 1234567
return answer
테스트 1 〉 | 통과 (0.00ms, 10.2MB) |
---|---|
테스트 2 〉 | 통과 (0.00ms, 10.1MB) |
테스트 3 〉 | 통과 (0.00ms, 10.1MB) |
테스트 4 〉 | 통과 (0.01ms, 10.1MB) |
테스트 5 〉 | 통과 (0.01ms, 10.1MB) |
테스트 6 〉 | 통과 (0.00ms, 10.2MB) |
테스트 7 〉 | 통과 (0.30ms, 10.2MB) |
테스트 8 〉 | 통과 (0.15ms, 10.1MB) |
테스트 9 〉 | 통과 (0.05ms, 10.2MB) |
테스트 10 〉 | 통과 (0.35ms, 10.1MB) |
테스트 11 〉 | 통과 (0.07ms, 10.2MB) |
테스트 12 〉 | 통과 (0.18ms, 10.1MB) |
테스트 13 〉 | 통과 (488.80ms, 456MB) |
테스트 14 〉 | 통과 (429.53ms, 439MB) |
728x90
LIST
'알고리즘 >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올바른 괄호 (0) | 2022.10.09 |
---|---|
[프로그래머스] 다음 큰 숫자 (1) | 2022.10.08 |
[프로그래머스] 2022 카카오 블라인드 주차 요금 계산 (0) | 2022.10.06 |
[프로그래머스] 괄호 회전하기 (1) | 2022.10.05 |
[프로그래머스] 영어 끝말잇기 (0) | 2022.10.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