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다익스트라
- 백트랙킹
- css #웹 #생활코딩
- java #자바
- css #생활코딩 #웹
- 투포인터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DFS
- java #자바 #생활코딩
- Dijkstra
- java #자바 #동빈나
- PYTHON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java #자바 #나동빈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BFS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자바 #java
- 백준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재귀
- 파이썬
- react #리액트 #동빈나
- dp
Archives
- Today
- Total
커리까지
[백준] 1916번 최소비용 구하기 파이썬 본문
728x90
SMALL
문제
N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M개의 버스가 있다. 우리는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버스 비용을 최소화 시키려고 한다.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을 출력하여라. 도시의 번호는 1부터 N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 ≤ N ≤ 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도착지의 도시 번호가 주어지고 또 그 버스 비용이 주어진다. 버스 비용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은 정수이다.
그리고 M+3째 줄에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구간 출발점의 도시번호와 도착점의 도시번호가 주어진다. 출발점에서 도착점을 갈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출발 도시에서 도착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8
1 2 2
1 3 3
1 4 1
1 5 10
2 4 2
3 4 1
3 5 1
4 5 3
1 5
예제 출력 1
4
제출답안
import heapq
INF = int(1e9)
n = int(input())
m = int(input())
graph = [[] for _ in range(n + 1)]
distance = [INF] * (n + 1)
for _ in range(m):
a, b, c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c])
start, end = map(int, input().split())
def dijkstra(start):
q = []
heapq.heappush(q, (0, start))
distance[start] = 0
while q:
dist, now = heapq.heappop(q)
if distance[now] < dist:
continue
for i in graph[now]:
cost = dist + i[1]
if cost < distance[i[0]]:
distance[i[0]] = cost
heapq.heappush(q, (cost, i[0]))
dijkstra(start)
print(distance[end])
- 최대값을 정해준다.
- n,m을 입력 받는다.
- 그래프를 n+1로 해서 이중 그래프를 만든다.
- 최소 거리이니 모두 최댓값으로 설정한다.
- for문을 돌면서 해당 노드랑 연결된 노드와 비용을 해당 노드에 append 한다.
- 시작지점과 끝 지점을 입력 받는다.
- 맨 처음에 0,start를 힙에 담고, start의 거리는 0으로 바꿔준다.
- 시작점이니 비용이 0이다.
- q가 빌 때까지 q에 담긴 값을 뺀다.
- 빼면서 현재 위치와 거리를 지정한다.
- distance에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값이 dist보다 작으면 즉, 비용이 적으면 넘어간다.
- 아니면 for문을 돌면서 해당 거리의 비용을 다시 산정한다.
- 현재 노드까지 오는거랑 노드가 가지고 있던 비용이랑 비교해서 작은걸 다시 산정한다.
- 마지막으로 end로 인덱싱해서 출력한다.
728x90
LIST
'알고리즘 >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6497번 전력난 파이썬 (1) | 2021.06.09 |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 블라인드 2018 추석 트래픽 파이썬 (0) | 2021.06.06 |
[프로그래머스] 2018 카카오 3차 압축 (0) | 2021.05.23 |
[프로그래머스] 2018 카카오 블라인드 3차 방금그곡 파이썬 (0) | 2021.05.17 |
[백준] 1780번 종이의 개수 파이썬 (0) | 2021.05.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