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 dp
- 알고리즘
- DFS
- react #리액트 #동빈나 #나동빈 #유튜브강의
- java #자바 #나동빈
- 자바 #java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다익스트라
- 백준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css #생활코딩 #웹
- java #자바 #생활코딩
- PYTHON
- css #웹 #생활코딩
- 파이썬
- java #자바
- 재귀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java #자바 #동빈나
- Dijkstra
- 백트랙킹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BFS
- 투포인터
- 코딩테스트
- react #리액트 #동빈나
- 백준
- Today
- Total
커리까지
Court Reconstruction for Camera Calibration in Broadcast Basketball Videos 본문
Court Reconstruction for Camera Calibration in Broadcast Basketball Videos
목표는 커리 2021. 4. 12. 05:111 INTRODUCTION
3D로 코드를 인식해서 저 자세한 농구 영상 인식이 가능한 것 같다.
농구코트 왼쪽과 오른쪽 동시에 인식 가능한 것 같다.
농구 전술이 복잡하기에 low features로는 표현하기 어렵다.
그래서 calibration technique로 선수들의 궤적을 보여줄 수 있다. (컷이라든지 공격과 수비와 같은 높은 수준의 움직임들)
대학 농구선수들은 이 시스템을 사용한 후 높은 선호도를 보여줬다.
농구 영상 처리는 코치들과 관객들의 필요로 관심이 높아졌다.
영상에서 수집된 정보들은 전술적 분석과 발전에 유용하다.
비디오 영상이 들어오고 파노라마로 전체 농구코트를 생선한 후 코트의 픽셀을 추출한다. 그다음에 convex hull울 만들고 사각형 모양으로 다시 그린다음 mesh 형태로 가공하고 quad mesh로 덮는다. 마지막으로 Recified 농구 코트가 완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선수들의 행동들을 구체화하고 인간과 기계사이의 의미론적 차이를 감소시킨다
각각의 픽셀들은 처음에 YCrCb space로 변환되고 그 다음의 16x16 histogram을 계산한다.
스코어보드, 선수들, 잡음들은 방해가 된다.
하나의 프레임보다 전체적인 비디오 클립을 고려하면서 카메라 움직임을 보정하였다.
코트의 완전성은 왼쪽이 다 나온것과 오른쪽이 다 나온 화면 프렘임이 존재함에 의해 근간을 두고 있다.
연속적인 프렘임안에 KLT 피쳐들을 추적하는 OpenCV를 기반으로 농구 코트 파노라마를 생성한다.
k-means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우리의 공식은 영상이 농구 코드 전체(왼쪽, 중앙 ,오른쪽)이 있어야 적용할 수 있다.
영상에서 뽑아낸거랑 데이터베이스에 있는거랑 비교해본다.
경기영상에는 광고도 있고, 쉬는 시간도 있고, 하이라이트도 있어서 짧은 영상에서 선수들의 궤적을 뽑는다.
Hanjalic 알고리즘을 사용
분류를 학습하는데 235개의 코트 뷰와 162개의 코트가 아닌 뷰를 사용했다.
216개를 테스트 했고 96.76%의 정확도를 얻었다.
농구 방송 화면에서 코트와 코트가 아닌 화면의 차이가 매우 달랐기 때문에 놓은 정확도를 얻었다.
슛 성공이나 실패, 어시스트, 속공 등은 텍스트로 기록할 수 있다.
유저들은 풋백이나 슛성공 등에 대해서 스트로크를 할 수 있다.
컷인, 컷 아웃, 페이드 어웨이 슛, 속공, 풋백, 픽앤롤과 같은 행동들에 각각 다른 반응들을 보이며 영상을 추척한다.
대부분의 시간은 KLT feature를 추적하는데 쓰인다.
선수들의 움직임이 사전 보정되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어 시스템이랑 영상이랑 상호작용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카메라의 줌인이나 줌아웃에 상관없이 코트의 형태만 중요하다.
정규코드의 그림이 있으면 각각의 비디오를 그 정규코드에 맞워서 찌그러 트린다.
- 농구 영상에서 왼쪽 코드를 보여주면 비스듬하게 되어있는데 이걸 평면 정규코드 라인에 맞춰서 크기를 조정한다.
선수의 움직임중에 부분적인 추적도 가능하기 때문에 움직임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있음
우리의 시스템을 대학 선수들에게 보여줬는데 코치들과 선수들은 긍적적인 반응을 보임
- 전술을 설명할 때 추상적이지 않고 설명 가능
정규코드나 네 코너가 다 모이는 화면이 가능하다.
- 그래서 향상시키려고 함
- 자유투나 삼점이나 클로즈업 화면등등
- 그래서 향상시키려고 함
이로써 논문이 끝이 났고 다음에는 실제로 구현해보기
'프로젝트 > 농구 득점 영상 딥러닝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ketballVideoAnalysis 오픈소스 해보기 (0) | 2021.06.21 |
---|---|
아마존 AWS E2C 스팟인스턴스 사용하기 (0) | 2021.02.26 |
농구영상 득점 자동 판별기 만들기 02 (0) | 2021.02.14 |
Geforce mx250 tensorflow gpu 설치 + 설정 (0) | 2021.02.08 |
농구영상 득점 자동 판별기 만들기 (0) | 2021.01.17 |